월세액의 일부(15%)를 연말정산 시 돌려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2022년 세제 개편으로 공제율이 최대 15%로 상향되었습니다. 월세 세액공제 조건, 한도, 제출서류에 대해 알아보고, 집주인 동의, 경정청구, 현금영수증 등 월세 공제에 관한 여러 궁금증을 풀어드리겠습니다.
월세 세액공제 조건, 금액, 제출서류
연말정산 시 세액공제를 받기 위한 조건과 한도, 제출서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공제 조건
- 본인 또는 기본공제 대상자(배우자 등)가 계약을 체결해야 합니다.
- 총 급여액 7,000만 원 이하여야합니다. (종합소득자 라면 6,000만 원 이하)
- 12월 31일 현재 무주택 세대주여야합니다.
- 국민주택규모(전용면적 85㎡ 이하) 또는 기준시가 3억 이하의 주택, 주거용 오피스텔, 고시원이어야 합니다.
- 임대차계약서 상의 주소와 주민등록등본상의 주소지가 같아야 합니다.
[공제 참고사항]
- 주거용 오피스텔, 고시원도 세액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 세액공제 대상에 관리비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 세대주가 전세자금 대출 소득공제, 주택담보대출 소득공제, 주택청약저축 소득공제를 받지 않는 경우에는 세대원도 월세 세액공제 가능합니다.
- 월세에 대한 현금영수증을 발급받아 신용카드 등 사용액 공제를 받을 수 있지만, 월세 공제와 중복해서 받을 수는 없습니다.
- 공동명의로 주택을 계약하고 공동으로 월세를 부담하는 경우에도 세대주만 세액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공제금액 및 한도
세액공제율과 한도는 다음표와 같습니다. 2022년 세제 개편으로 공제율이 상향되었습니다. 과거 월세액의 12%를 세액공제받았다면 이제 15%를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공제 한도는 연간 납입한 월세 750만 원까지입니다. 그 이상 내는 월세는 세액공제받을 수 없습니다.
소득조건 | 공제율 | 공제한도 |
총급여 5,500만원 이하 (종합소득금액 4,500만원 이하) |
15% (12% > 15% 상향) |
750만원 |
총급여 5,500만원 초과~7,000만원 이하 (종합소득금액 6,000만원 이하) |
12% (10% > 12% 상향) |
예를 들어 월세가 30만 원이라면, 1년간 낸 총월세는 360만 원이며, 15% 기준 세액공제금액은 360만 원 x 15% = 54만 원입니다. 두 달 치에 가까운 월세를 돌려받는 것입니다.
- 최대로 받을 수 있는 월세 세액공제액은 112.5만 원입니다. (750만 원 x 15%=112.5만 원)
제출서류
공제를 받기 위해서는 연말정산 시 회사에 다음 서류를 제출하면 됩니다.
- 주민등록등본
- 임대차 계약서 사본
- 월세 납입 증명서류(현금영수증, 계좌이체 영수증, 무통장입금증 등)
월세 납입증명서류는 집주인에게 월세액을 지급하였음을 증명하는 명세서입니다. 은행 창구 혹은 온라인으로 이체내역을 발급할 수 있습니다.
집주인의 동의를 받아야 할까?
월세 세액공제에 관한 쓸데없는 걱정이 집주인의 동의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동의를 받지 않아도 됩니다.
집주인이 싫어하는 이유는 임차인이 월세 세액공제를 신청하면 국세청이 임대인의 소득자료를 확인하기 때문입니다. 그동안 신고를 하지 않고 월세를 받고 있었다면 세부담이 생길 수 있겠죠. 그렇다 보니 간혹 임대차계약서에 월세 공제를 금지한다는 특약을 넣기도 하는데, 그것은 명백한 불법행위입니다.
집주인 불이익 고려하지 말고 세액공제를 신청하시면 됩니다.
5년 간 경정청구 가능해요.
과거 5년 간의 월세 세액공제를 경정청구할 수 있습니다. 월세를 살았지만 공제를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몰랐거나 집주인의 거절로 공제를 못 받았을 경우 지난 것들까지 다 소급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 경정청구 가능 기간은 다음 연도 6월부터 5년간입니다.
- 경정청구 시에도 서류는 동일하게 필요합니다.
조건이 안된다면 소득공제받기!
공제 조건 상 월세 세액공제를 받을 수 없는 경우 월세 현금영수증으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소득공제 항목인 '신용카드 등 사용액 공제'에서 적용받는 방법입니다. 총 급여 25%를 초과하여 사용한 현금영수증 지출은 30% 소득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월세 세액공제를 받는 것이 대체로 이득이지만, 조건이 안된다면 소득공제를 받아봅시다. 이 역시 집주인의 동의는 필요 없습니다.
- 홈택스 상담/제보 - 주택임차료(월세) 항목에서 월세 현금영수증 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
- 임대차계약서 사본이 필요합니다.
- 월세 지급일로부터 3년 이내 신고해야 합니다.
월세 세액공제의 조건, 한도, 제출서류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읽어보시고 공제 조건이 된다면 월세 세액공제 꼭 받으시길 바랍니다. 2022년 개편으로 공제율 15%(12%)로 높아졌습니다. 과거 5년까지 경정청구가 가능하기 때문에 안 받은 게 있다면 신청하시고 세금을 환급받으시면 됩니다.
🤔만 34세 이하 청년은 월 20만원 월세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 글에서 지원 대상, 소득 기준을 확인해보세요.
청년월세 지원 대상 및 소득 기준
만 19~34세 무주택 독립거주 청년 중 월세가 60만 원 이하라면 지원 대상이 되며, 최대 월 20만 원까지 월세를 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 소득조건 참고하시고 조건에 해당된다면 신청하셔서 청년월
pathtorich.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