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 / 2022. 12. 7. 17:42

TDF (Target Date Fund)의 개념 및 특징

TDF는 은퇴시점에 맞게 주식, 채권 등 투자자산의 비중이 자동으로 조절되어 생애주기에 맞는 장기투자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아무것도 모르는 직장인들도 복잡하고 머리아픈 은퇴자산 관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TDF 펀드란?

 

TDF (Target Date Fund)는 가입자의 은퇴시점(Target Date)에 맞춰 위험자산과 안전자산의 비중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펀드를 뜻합니다. 

 

보통 은퇴자금을 투자할 때, 은퇴까지 남은 기간에 따라서 위험한 주식 자산과 비교적 안전한 채권형 자산의 비율을 조절합니다. 은퇴시점이 아직 멀었다면 장기투자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주식형의 비중을 늘리고, 은퇴가 가까워질수록 자산의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 채권형의 비중을 늘리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전문 투자자가 아니라면 그런 리밸런싱(Rebalancing) 작업들이 낯설고 힘들수가 있는데요. 해당 펀드는 리밸런싱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신경을 덜 써도 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직장인들은 연말정산시 세액공제 혜택을 보기 위해 연금저축펀드 계좌 개설을 많이 하시는데요. 개설은 했지만 어떤 펀드를 골라야 할지 항상 막막하실 겁니다. 연금저축계좌에서도 TDF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머리 아플 일 없이 펀드 하나로 효과적인 연금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TDF를 고를때는 우선 목표하는 은퇴시점을 결정해야 합니다. 그러면 그 시점에 맞게 미리 설정된 투자비 중대로 자산이 자동 배분됩니다.

 

예를 들어 목표하는 은퇴시점이 2050년인 경우, 아직 은퇴까지 30년가량이 남은 셈이므로 펀드 포트폴리오는 주식형 자산의 비중이 높습니다. 그리고 시간이 점차 지나고 은퇴시점에 가까워지면서 채권형의 비중이 높아집니다. 

 

혹은 2030년 은퇴를 목표로 하는 펀드도 있는데요. 이 경우는 은퇴까지 남은 기간이 길지 않으므로 안정성이 높은 포트폴리오로 구성되어있을 겁니다.

 

꼭 은퇴시점에 맞는 펀드를 고르지 않아도 됩니다. 본인의 투자성향이 보수적이라면 채권 비중이 높은 TDF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TDF 장점에 대해 더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생애주기 반영

한국인의 생애주기를 반영하여 초기에는 위험자산 비중을 높게 유지하여 수익을 축적하다가 은퇴시점에 가까울수록 안전자산의 비중을 높여 변동성을 줄여나갑니다. 

 

자동 리밸런싱

미리 정한 자산배분을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자산비중을 자동으로 조절하면서 위험관리를 자동으로 해줍니다.

 

글로벌 자산배분

국내 및 글로벌 주식, 채권, 대체자산 등에 자동적으로 분산 투자됩니다. 운용하는 펀드매니저가 알아서 광범위한 분산투자를 해드립니다.

 

원형차트
자산배분

 


 

 

TDF는 생애주기를 반영한 최적 포트폴리오가 자동으로 구성되는 펀드입니다. 은퇴가 멀었다면 주식형의 비중을 높여 수익을 누적시키고, 은퇴가 가까워질수록 위험자산 비중을 줄여서 안전한 펀드로 조절되어갑니다. 효율적인 연금 투자를 손쉽게 하고 싶다면 각 증권사의 TDF 펀드를 고려해보시길 바랍니다.

 

TDF 단점으로 수수료, 보수가 높다는 점이 제기되기도 하는데요. 요즘은 과거보다 보수가 줄어들었기 때문에 크게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각 증권사의 TDF 수수료, 보수를 비교해보시고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연금저축계좌, 보험 아닌 펀드로 해야하는 이유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